App (HTTP) - 메세지 (핵심은 이거고 아래는 다 오버헤드)
Transport (TCP / UDP) - 세그먼트 (세그먼트 헤더 + 데이터(<=메세지))
Network (IP) - 패킷 (패킷 헤더 + 데이터 (← 세그먼트))
<aside> 💡
이 패킷 데이터에는 tcp 세그먼트가 들어올 텐데, 헤더(like 편지봉투)에는 어떤 부가적인 정보가 담길지?
네트워크가 주로 TCP + IP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TCP/IP 네트워크라고 이야기함
아래로 인캡슐레이션을 반복하면서 내려옴
</aside>
Link (Wifi, 이더넷 등) - 프레임 (프레임 헤더 + 데이터 (← 패킷)
우리는 TCP 프로토콜을 공부하면서 양 끝단의 컴퓨터에서 일어나는 일에만 관심을 가졌지, 그 메세지가 어떻게, 어떤 라우터를 거쳐서 전달되는지 관심을 전혀 가지지 않았죠? 말 그대로 블랙박스였다구요. 이제 그 안의 뚜껑을 열어봅시다.
라우터 안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? 어떻게 작동할까?
고려사항